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굴식 돌방무덤

덤프버전 :

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.

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


삼국시대 고분의 형태와 변천 둘러보기
[ 펼치기 · 접기 ]

파일:고구려 삼족오.png1~2세기~3세기4세기5세기6세기7세기~
고구려무기단식/기단식 적석총
계장식계단식 적석총
석곽광실/석실장군총형
석실 봉토분(벽화분)발해 고분
생활풍속도사신도
평양지역낙랑고구려
전실분, 다실벽화분
→고구려/백제로 영향


파일: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.png1~2세기3세기4세기5세기6세기7~9세기
신라목관목곽적석목곽묘경주, 일부 지방석실
석곽묘지방
단독 형성고분군의 형성고총/고총군 형성고총 둔화

파일:가야의상징이라고칩시다심볼할게없네.png1~2세기3세기4세기5세기6세기7세기~
금관가야
아라가야
대가야
소가야




1. 개요
2. 생김새
3. 여담



1. 개요[편집]


파일:굴식 돌방무덤 구조.jpg

삼국시대무덤이다.


2. 생김새[편집]


위 사진처럼 앞돌방, 이음길, 널방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아무래도 벽면이 있기 때문에 각종 벽화들도 남아있는 편이다. 그리고 둘레돌에 12지 문양을 새겨놓은 굴식 돌방무덤도 있다.


3. 여담[편집]


  • 삼국 중 고구려가 4세기 무렵 가장 많이 사용했지만 5세기 무렵에 신라, 백제, 가야까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. 그리고 통일신라 때 유행하였다.

  • 여기에 그려져 있는 대표적인 벽화로 고구려의 사신도가 있다.

  • 도굴을 굉장히 많이 당한 무덤으로 유명한데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놓아 도굴꾼들이 다 털어가서 유물들은 거의 남아있지 않고 벽화들만 많이 남아있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0 05:25:06에 나무위키 굴식 돌방무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